한국의 전통문양

출산을 앞둔 임산부에게 필요한 전통문양은 뭐가 있을까?

돌금박 2024. 10. 14. 17:25
반응형

우리 전통의 출산 의례에는 여전히 잘 알려진 풍습들이 많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태어난 후 대문에 금줄을 걸어 두는 풍습은 악귀를 막고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출산 후 삼칠일 동안 외부와의 접촉을 금하는 것은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또한 아기의 첫 생일을 기념하는 돌잔치와 돌잡이는 아기의 장래를 축복하고, 가족과 친지들이 함께 모여 기념하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숫자 '3'에 담긴 숨겨진 의미

민속에서도 숫자 3은 여러 곳에서 나타납니다. 음양의 조화가 상징하는 숫자 3과 더불어, 세상을 의미하는 숫자 4를 합쳐 신과 인간, 하늘과 땅, 영혼과 육체를 아우르는 상징적인 숫자로 여겼다는 전승도 있습니다.

또한, 삼신할머니는 우리 전통에서 가정에 아이를 내려주고 그 아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지켜주는 신으로 여겨졌습니다. ‘삼’은 생명과 관련된 순우리말로, 아이의 출산과 관련된 용어들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를 낳고 삼칠일 동안 산모와 아기를 보호하는 의례는 삼신과 관련된 대표적인 풍습입니다.

이러한 전통은 우리의 선조들이 숫자와 자연, 그리고 인간의 조화에 대해 깊이 있는 철학적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새 생명의 탄생을 축하하는 전통문양

우리 선조들은 새 생명의 탄생을 축복하고, 다산과 자손 번창을 기원하기 위해 다양한 전통문양을 사용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석류문은 대표적인 문양으로, 붉은 석류 안에 많은 씨앗이 가득 차 있는 모습은 다산과 풍요를 상징합니다. 이 문양은 주로 혼례복, 침구, 가구 장식, 도자기 등에 사용되었으며, 신라시대 암막새에서 그 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석류의 모양이 마치 보석을 담은 주머니와 같아 사금대(沙金袋)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습니다.

현재에도 이 석류문은 임산부에게 임신을 축하하고 순산을 기원하는 상징으로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의미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자손의 번창과 풍요를 기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전통문양은 한국 문화 속에서 새 생명의 축복과 더불어 가족의 번영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전통돌금박 방식으로 제작한 글리프 GLEAF 돌금박댕기키링의 석류문양

 

반응형

잉어문은 한국 전통에서 다산과 성공을 상징하는 중요한 문양입니다. 잉어는 본래 중국의 고사인 '등용문'에서 유래한 상징으로, 용문을 넘는 잉어가 용이 되어 하늘로 승천한다는 뜻에서 입신양명성공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발전했습니다. 이러한 잉어의 이미지는 단순히 출세와 관직 등용을 상징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산과 자손 번창을 기원하는 의미로도 확장되었습니다.

잉어는 한번에 많은 알을 낳는 습성 때문에 다산과 다복을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졌습니다. 이는 잉어가 새로운 생명에게도 그 번영과 성공의 기운을 전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따라서 잉어문에는 성공, 다산, 그리고 자손 번창이라는 다면적인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 창덕궁 후원의 부용지 축대에 새겨진 잉어문양은 선비들의 장원급제를 기원하는 상징으로 해석됩니다. 이처럼 잉어는 건축물 장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회화와 공예품에서 그려져 왔으며, 잉어문을 통해 새 생명의 탄생과 가족의 번영을 기원하는 선조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글리프 GLEAF의 대표 문양중 하나인 잉어문

 

 

 

전통 문양과 전통색에 담은 의미

과거 한국의 육아 환경은 현대와 비교해 매우 열악했습니다. 의학 기술의 발달이 미흡했기 때문에 많은 아이들이 태어나고 1년 이내에 생명을 잃는 경우가 많아, 첫 돌**을 맞이하는 것은 그만큼 특별한 의미를 가졌습니다. 아이가 무사히 첫 생일을 맞이한다는 것은 가족들에게 큰 축복이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특별한 의식을 치렀습니다.

돌복은 첫 돌을 맞은 아이에게 입히는 전통 의상으로, 성별에 따라 다르게 입혔습니다. 여자 아이는 주로 분홍색 풍차바지와 다홍색 치마에 색동저고리를 입었으며, 저고리 위에 당의나 색동두루마기를 덧입혔습니다. 반면, 남자 아이는 풍차바지에 분홍 저고리나 색동저고리, 남색 조끼를 입고, 그 위에 색동마고자와 오방장두루마기를 입혔습니다. 그리고 남녀 구분 없이 허리에는 돌띠를 둘러주었습니다.

이러한 전통 의상은 아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으며, 아이의 첫 생일을 특별하고 축복받는 날로 기념하는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돌복에 사용되는 오방색은 전통적으로 음양오행의 사상을 반영한 중요한 색상 체계입니다. 오방색은 흑색, 백색, 황색, 적색, 청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색상은 동서남북과 중앙을 상징하고, 음양오행의 기운을 담아 아이를 보호하고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방색은 나쁜 기운을 막고,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 오래 살기를 바라는 조상들의 염원이 담긴 색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돌복에 오방색을 반드시 사용하여 아이의 첫 돌을 축복하는 문화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오늘날에도 전통적인 돌잔치에서 그대로 전승되고 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전통 문양과 색을 통해 자연의 기운을 상징적으로 반영하고, 이를 통해 새 생명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했습니다. 이처럼 전통 문양과 오방색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삶의 중요한 이정표에서 보호와 축복을 위한 상징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임신, 출산 축하의 의미를 담은 전통문양 '석류문'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다산의 상징**: 석류는 열매 안에 많은 씨앗을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자손의 번창을 상징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결혼식 의상, 신부의 폐백 상차림 등에 석류문양이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2. **건강과 행복의 기원**: 석류의 씨앗은 생명을 상징하며, 건강한 출산과 자녀의 성장을 기원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번영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합니다.

3. **예술적 표현**: 석류문양은 조선시대의 궁궐 장식, 의복, 공예품, 도자기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여성의 의복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문양입니다.

4. **건축 장식**: 전통 가옥과 사찰의 건축물에서도 석류문양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가정의 번영과 평안을 기원하는 의미로 활용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선조들의 깊은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문양입니다. 

석류문양은 이처럼 한국 전통에서 다산, 번영, 건강을 기원하는 중요한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그 의미가 잘 드러납니다.

반응형